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언어학11

담론과 자연언어 담론의 개념부터 다시 짚어보자. 담론의 개념은 언어학, 철학, 사회학, 역사학, 매체학, 문화연구 등 분야마다 조금씩 다르게 이해된다. 공통적으로는 '어떤 사회의 구성원들 간에 체계적으로 생성, 소통, 발전되는 다소 복잡하거나 복합적인 속성의 언어적 정보'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대개 사회의 공적인 부분과 관련되어 여러 경로로 소통되어 다각도로 나누어지는 '이야기'들이다. 예를 들어, “이번 토론에서는 대학등록금 인상에 대한 담론을 다루겠습니다”에서와 같은 용도로 쓰인다고 생각하면 된다. 학문적으로 20세기, 특히 1960년대 이후부터 많은 연구가의 철학 혹은 사회이론에서 사용되었다. 의미론과 담론 분석에서 담론은 의사소통 각각의 양상과 맥락 안에서의 대화의 개념적 일반화이다. 법률적 담.. 2023. 2. 14.
수사학 언어의 어떤 측면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언어학이라는 학문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도 있다. 언어학의 방법론에 대한 추상적인 연구를 하는 메타언어학과 언어학의 역사를 연구하는 언어학사가 있다. 이외에도 언어학의 하위 분야로 인식되기도 하고 문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기도 하는 문체론과 수사학, 철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는 기호학 등도 있다. 언어와 관련된 실질적인 분야를 다루는 응용언어학에는 언어 관련 교재 개발, 교수법, 번역과 통역, 사전 편찬, 언어치료, 언어정책, 전산처리 등 다양한 분야가 존재한다. 담화분석, 말뭉치언어학, 맞춤법, 정서법, 대조언어학, 번역학, 사전학, 언어교육학, 언어정책 자연 언어 처리로 하여, 음성처리, 음성인식, 음성합성, 화자인식, 기계번역, 통계언어학. 문체론.. 2023. 2. 14.
비교 언어학 과 법언어학 역사 언어 연구 대개의 말뭉치는 현대어 위주로 구축되어 있지만 역사 말뭉치를 구축하면 통시적 연구가 가능해진다. 특정 어휘가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추적할 수도 있고, 그 시대 어휘만을 다룬 특정의 역사 사전도 만들 수 있다. 물론 역사 말뭉치는 구축이 어렵다. 그리고 한국어의 경우 한자와 한글이 뒤섞여 쓰이고 있고, 곡용이나 활용태가 현대어와 많이 다르다. 그리고 표기의 일관성이 보장되지 않아 수많은 표기를 함께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사실 역사 말뭉치는 문서 수가 한정적이므로 균형을 갖춰 구축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이 있다. 하지만, 우리의 문화 속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 말뭉치는 역사 언어 연구의 필수 불가결한 도구이자 대상이 되어가는 중이다. 비교 언어학 2개 국어 이상의 번역된 문서를 .. 2023. 2. 13.
말뭉치 말뭉치의 요건과 종류 문서를 많이 모은다고 해서 모두 말뭉치가 되는 것은 아니다. 말뭉치는 몇 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텍스트 수집이나 입력 과정에서 원래의 내용이나 형태의 누락이 있어서는 절대 안 된다. 즉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는 보장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의 다양한 변이를 담아내야 한다. 즉 언어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구성으로 조합되어야 한다. 해당 언어의 통계적 대표성을 지녀야 하며, 유의미한 규모로 확보되어야 한다. 말뭉치가 가져야 하는 두 가지 특성은 '대표성'과 '균형성'이라고 볼 수 있다. 표본이 모집단을 통계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가 바로 이것이 보장되지 못하면 그 표본으로 하는 연구는 가치가 없는 것이다. 말뭉치의 대표성은 이 통계적 대표성을 의미한다. 그렇다고 해서 대표성을 .. 2023.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