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학

형태론과 통사론

by 키리타니 2023. 2. 9.
반응형

형태론은 단어의 변화, 즉 단어의 어형을 다루는 문법의 한 분야이며, 다른 말로는 어형론(語形論)이라고도 한다. 형태론은 형태소를 분석하고 그 형태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데 중점을 맞춘다.

 

형태소란?

형태소(形態素, morpheme) : 의미를 가지는 언어 단위 중 가장 작은 언어 단위를 말한다.

형태소는 상보적 분포를 가지는 이형태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다.

이형태(異形態, allomorph) : 환경에 따라서 다른 형태를 띤 형태소를 말한다.

기본형(基本形, basic allomorph) : 이형태중 가장 그 본래의 형태에 가까운 것을 말한다.

 

형태와 이형태란?

형태론에서 형태소(Morpheme)가 주위 환경에 따라 그 모습을 바꿀 때, 그것들을 각각 형태(morph)라 한다.

이형태들은 서로 나타나는 환경이 겹치지 않는 것이 특징이고, 이를 상보적 분포라 한다.

위와 같이 형태소는 모습이 일정하지 않으며, 특히 문법적인 기능을 표시하는 형태소들은 환경에 따라 다 다른 형태로도 나타난다. 형태소와 형태의 차이는 형태소는 추상적인 단위를, 형태는 형태소의 구체적인 실현형, 즉 환경에 따라 다른 모습을 나타내는 형태소의 모습이 다는 것이다. 이형태는 하나의 형태소가 여러 개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때 이들 형태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용어라는 점이다. 이형태와 형태는 같은 게 아니지만, 특별히 둘에 대한 언급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거나, 그게 많은 경우 추상적인 단위로서의 형태소와 그 구체적인 실현형으로서 형태소의 개념을 구별하지만, 묶어서 형태소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형태 교체의 양상

두 개 이상의 음운론적 이형태들의 형식적인 관계는 교체(alternation)라 말한다.

 

교체의 기준

이형태의 교체는 환경, 동기, 성격을 기준으로 분류 가능하며, 환경을 기준으로는 음운론적 교체와 비음운론적 교체, 교체 동기로는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성격으로는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로 나눌 수 있다.

음운론적 교체, 비음운론적 교체

이형태 '주격조사 '/', 목적격조사 '/'은 앞에 오는 체언의 받침소리가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형태들의 교체관계를 이형태를 음운론적으로 조건 지어진 교체(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라고 하는데, 이때의 음운론적 조건이란 그 내용으로 음소 또는 음절, 음절말 또는 음절초와 같은 음운론적 단위나 경계를 포함한다.

자동적 교체는 음성적 교체이라고도 하며 음운 체계의 안에서 강한 음운론적 제약을 반영한다비자동적 교체는 형태음운론적 교체라고도 한다.

음운 제약이 약하므로 필수적이지 않다. '

 

단어(單語, word) : 형태소의 집합 중 자립 가능한 최소 형태를 말한다.

단어는 내부에 휴지를 둘 수 없다. '단어'에서 '' ''사이에 다른 글자를 넣을 수 없다.

단어는 분리될 수 없다. '귤나무'에서'귤'과 나무'사이에 귤나무'에서'귤'과 나무'사이에 다른 글자가 단어를 넣을 수 없다.

어휘소(語彙素, lexeme) : 다른 형태를 가지는 여러 단어들의 추상적 집합. 단어를 말한다.

어형(語形, word form) : 단어의 형태를 말한다.

어기(語基, base) : 단어의 중심 역할을 하는 형태소를 말한다.

어근(語根, root) : 어미와 직접 결합할 수 없고 자립형식도 아닌 어기를 말한다.

어간(語幹, stem) : 어미와 직접 결합할 수 있으나 자립형식은 아닌 어기를 말한다.

접사(接辭, affix) : 어기와 결합해야 출현할 수 있는 의존형태소를 말한다.

접두사(接頭辭, prefix) : 어기의 앞에 놓이는 접사를 말한다.

접요사(接腰辭, infix) : 어기 가운데를 파고드는 접사를 말한다. 한국어를 비롯해 주요 언어들에는 없으나, 영어의 경우 욕설을 접요사로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다.

접미사(接尾辭, suffix) : 어기의 뒤에 놓이는 접사를 말한다.

파생접사(派生接辭, derivational affix) : 어기에 결합하여 새 단어를 만들어내는 접사를 말한다.

영변화(zero derivation) : 접사가 없이 파생되는 경우를 말한다. 영어로 예를 들어보면, book은 명사로는 ''인데 전성되어 동사로는 '예약하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어미(語尾, ending) : 단어의 어미변화를 담당하는 굴절접사를 말한다. 한국어의 모든 굴절접사는 접미사이므로 흔히 어미라 부른다.

 

통사론

 

언어학, 음운론, 문자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음성학, 기호학, 개별언어학, 언어습득

언어의 기원, 언어의 변화와 변이,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 언어지리학, 언어계통론, 언어연대학

언어유형론, 사회언어학, 방언학, 생성언어학, 인지언어학, 이론언어학, 응용언어학, 언어인류학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생물언어학, 전산언어학, 말뭉치언어학

 

통사론 또는 구문론(構文論)은 단어가 문장을 이루는 방법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통사론이 주요하게 문장을 기본 대상으로 하여 문장의 구조나 기능, 문장의 구성 요소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언어학의 한 분야로 문장론 또는 어법학, 문법론 등으로도 불린다. 언어의 문법에서 구문론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언어를 교착어·굴절어·고립어 등으로 구분한다. 구문론에서 주어·목적어·동사의 통상 배열 순서에 따라 언어를 SOV언어·SVO언어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통사론의 여러 학설

현재 통사론은 여러 방향에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사론을 바라보는 처지의 한쪽 극단을 통사론이 궁극으로 인간 심리의 구조를 규명하는 학문이라고 보는 실재론상 입장이라고 한다. 다른 한쪽 극단은 통사론을 추상성을 띤 형식 체계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간주하는 플라톤주의 성격을 띤 처지다. 또 한편에서는 통사론이 분류론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언어철학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한다. 통사론의 여러 학설을 견해별로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생성문법이란?

생성문법의 기본이 되는 가정은 언어 구조가 곧 인간 마음의 구조라는 것을 말한다. 생성문법가들은 내재 성격을 띤 언어를 대상으로 한 완결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모형은 세계 모든 언어의 구조를 기술하고 문법상으로 적격 한 문장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언어를 대상으로 한 이런 접근법은 노엄 촘스키에서 시작되었다. 생성문법가들은 대체로 문장의 성분 구조에 기초하여 통사에 관계된 분석을 시도한다. 생성문법은 문장의 형식상 구조에 주로 관심을 기울이며 의사소통 기능에는 상대로 소홀한 편이다.

 

생성문법의 학설 가운데 다음 이론들은 이른바 앞서 말한 대로 촘스키주의로 분류된다.

변형 문법(TG) (1950~1960년대의 촘스키의 이론)

지배 결속 이론(GB) (1970~1980년대의 촘스키의 이론)

최소주의 프로그램 (MP) (1995년 이후 촘스키의 이론)

그 외의 학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도 있다.

생성의미론 (1970년대), 관계문법(RG) (1970년대), 일반화 구구조문법일반화 구구조문법(GPSG) (1970~1980년대)

핵중심 구구조문법(HPSG), 어휘기능문법(LFG), 나노통사론, 단순통사론 등이 있다.

 

의존문법이란?

의존문법은 의존관계에 의해 구조를 정의하는 통사론을 말한다.

 성분구조에 따라 구조가 정의되는 구구조문법과 대립된다. 의존문법론에서는 단어와 그 단어가 가지는 의존관계가 중시되기 때문이다. 의존문법으로 간주되는 학설들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대수통사론, 단어문법, 운용자문법, 의미-텍스트 이론, 기능생성기술, 추계문법/확률문법/연결망이론 등 문법성에 대해 이분법적 태도를 취하지 않는 확률론자들이 추구하는 문법들이다. 이들은 대체로 신경망 이론이나 연결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보면 된다.

 

기능주의 문법이란?

기능주의 이론은 문장의 기능에 기반을 둔 즉, 대체로 의사소통 기능에 중점을 둔 문법 설명을 추구한다. 기능주의 문법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이론들이 포함된다. 그 외에 구노 스스무(久野 暲), 타미 기본(T. Givon), 버나드 콤리(B. Comrie) 등은 자신들의 연구 방법론에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았으나 대체로 기능주의 문법가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기능담화문법, 체계기능문법(SFG), 인지문법, 구문문법(CxG), 역할지시문법(RRG), 창발문법

반응형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사학  (0) 2023.02.14
비교 언어학 과 법언어학  (0) 2023.02.13
말뭉치  (0) 2023.02.11
음성학과 음운론  (0) 2023.01.27
언어학과 그 현실에 대해서  (0) 2023.01.26

댓글